온난화 비즈니스: 온난화를 사업 기회로 삼는 사람들

온난화 비즈니스_입체북.jpg

 

맥켄지 펑크 지음, 한성희 옮김

400 페이지/ 신국판(152*224)

16,000원

초판 1쇄 발행 2018년 12월 15일

ISBN 979-11-7022-164-7 03300

분류: 사회과학, 경제, 경영

발행: 처음북스

 

온난화는 이미 시작됐다. 그리고 그에 대비하는 두 가지 움직임이 있다. 온난화에 맞서 이를 ‘완화’하려고 하느냐, 아니면 ‘적응’해서 기회로 만들려고 하느냐.

이미 누군가는 온난화를 사업의 기회로 삼고 있다. 그들 대부분은 좀 더 살기 좋은 북쪽 사람들이고, 더 큰 피해는 남쪽 사람들이 보고 있다.

월스트리트는 물이 풍부한 수단의 땅을 사들이고 있고, 이스라엘은 스위스에 ‘눈’을 수출한다. 그리고 방글라데시는 가라앉고 있으며 그린란드는 떠오르고 있다. 우리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출판사 리뷰

온난화를 거스를 수 없다면 적응해야 하는 것 아닌가?

『온난화 비즈니스』는 우리에게 이런 질문을 던진다. 온난화를 믿지 않는 사람들도 있지만 여러 과학적인 증거가 온난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말해주고 있다. 지구의 온도는 조금씩 올라가고 있으며 북극의 빙하는 녹아 내린다. 식물을 키울 수 있는 북방 한계선은 점점 올라간다. 이런 현실 앞에서 인류가 택한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고 친환경적인 연료를 찾아내려는 쪽이다. 이를 ‘완화’라고 한다. 또 한쪽은 닥쳐올 일이라면 그에 맞춰 살아야 한다는 ‘적응’ 입장이다.

매년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고 있지만 하루아침에 수십 도가 올라가지는 않을 것이다. 북극의 빙하는 매년 천천히 녹아 내릴 것이다. 이때 우리는 빙하를 보고 북극곰을 걱정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빙하 때문에 개발할 수 없었던 얼음 밑의 석유를 시추할 계획을 세우거나 전 세계의 뱃길을 단축시켜 줄 북극항로의 지배권을 얻으려 대비하고 있다.

『온난화 비즈니스』는 그야말로 생각의 지평을 넓히는 책이다. 우리는 ‘온난화’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무슨 생각을 하고 있었는가?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

이 책은 ‘적응’ 입장의 사업가, 정치가, 군인 등 다양한 인간군상이 현재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아주 생생하게 보여준다. 또한 이 책은 수년간 저자가 실제로 취재하면서 본 일을 기록한 것이다. 책이 담고 있는 내용이 공상 과학이 아니라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이라는 말이다. 모두가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대체 에너지에 신경 쓰고 있을 때, 세계 최대의 정유회사는 화석연료의 가치가 계속될 것이라 판단하고 시베리아나 북극해 근처의 유정에 투자한다. 이스라엘 또한 제설기를 만들어 빙하가 녹고 있는 알프스에 판매한다. 기후 변화와 함께 곡물 산지가 변화할 것으로 예상한 사업가는 수단의 농토를 군부에게 구입하고 있다. 누군가는 온난화를 이용한 비즈니스를 한다며 성토하겠지만, 이것이 현실이다. ‘정의로운 국가’를 내세우는 미국은 왜 교토 의정서에 서명하지 않았을까? 한마디로 비즈니스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도 어쩌면 완화보다는 적응으로 생각을 바꿔야 할지 모른다. 어차피 닥칠 문제라면 말이다.

 

 

저자 소개

지은이: 맥켄지 펑크

맥켄지 펑크는 여러 수상 경력이 있는 기자이며, 『온난화 비즈니스』로 화려하게 데뷔했다. 맥켄지는 <하퍼스> <내셔널 지오그래픽> <롤링 스톤> <아웃사이드> <뉴욕타임스>에 기고하고 있다. 녹고 있는 북극얼음을 취재해서 환경저널리즘 분야 오크상을 받았고 관타나모에서 석방된 최초의 수감자와 타지키스탄에서 인터뷰를 진행해서 리빙스톤 상, 젊은 저널리스트 분야 최종 후보에 선정되기도 했다.

 

옮긴이: 한성희

대학에서 화학과 매스커뮤니케이션을 전공했고, 미국에서 석사과정으로 저널리즘을 공부했다. 환경부 산하기관에서 기후변화관련 일을 했으며, 현재 번역일을 하고 있다.

 

 

책 속에서

“석유 시추가 더 많은 기후변화를 일으킬 거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왜 우리가 하지 말아야 하죠? 기후변화로 독립을 살 수 있다면 왜 그렇게 하지 말아야 합니까?”

– 떠오르는 그린란드 중에서

 

“우리는 에스키모 인에게 눈을 파는 것도 가능해요.”

아브라함이 말했다.

“이제 난 베두인 족에게 모래를 팔고 싶군.”

모세가 한마디 했다.

“그들은 돈이 없다네.” 라피가 웃으며 말했다.

– (필요는) 발명의 아버지 중에서

 

북극 연구위원회는 석유굴착장치와 송유관을 지키는 특별군대를 편성하겠다고 발표한 러시아가 북쪽 석유지대에서 부자가 될 거라고 내다보았다.

“그 나라가 진흙탕에서 어떻게 빠져나오는지를 지켜보십시오. 그들은 흥분해서 힘을 과시하고, 사람들에게 존경받는 거물처럼 거들먹거리고 있습니다.  모두 북극 덕분이죠.”

– 콜드 러시 중에서

 

 

추천사

이 용감한 미국 기자는 환경변화에 따라 누가 희생되고 누가 이득을 얻는지를 취재하며 복잡하고 이해하기 힘든 현상을 인간 세계에 던져주었다. 펑크는 우리를 앨 고어가 보여준 고고한 세상에서 떨어뜨려, 군사전문가, 투자가, 정치가 그리고 환경운동가들이 어떻게 이 혼란한 시대에 대비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 월스트리트저널

 

펑크는 환경변화를 인간적으로 다루는 아주 재미있는 책을 썼다. 그는 적대적으로 변하는 환경을 절호의 기회로 만들려는 사업가에 초점을 맞췄다.

– 디 어소시에이티드 프레스

국제 기후 문제를 사업의 기회를 바라보는 인간과 권력의 이야기는 어두운 유머와 명석한 연구로 가득 차 있다. 맥켄지 펑크는 기후 자본주의자들에게 기후변화는 뜻밖의 기회임을 주시한다. 녹고 있는 빙하, 가뭄, 해수면 상승 그리고 거대한 태풍까지도 말이다. 그는 아주 넓은 범위를 조사했다. 빙하와 맞닿아 있는 국가에서 석유 부자들이 하는 행동, 산불과 맞서는 민간 소방대가 급증하는 현상, 외국 자본이 들어와 농사를 짓는 물이 풍부한 남수단에서는 다른 지역의 가뭄이 횡재의 기회가 된다는 것 등이며, 그리고 그 너머를 보여준다.

– 네이처

 

 

차례

 

프롤로그                                           7

 

Part 1  해빙

1장_ 콜드 러시                                   23

2장_ 쉘 게임                                      58

3장_ 떠오르는 그린란드                         85

4장_ 필요는 발명의 아버지                     111

 

Part 2  가뭄

5장_ 불타기에는 너무나 거대한                135

6장_ 돈을 따라 위로                             164

7장_ 글로벌 농지 확보                          194

8장_ 푸른 벽, 검은 벽                           225

 

Part 3  홍수

9장_ 인도의 만리장성                           263

10장_ 방파제 판매                               299

11장_ 더 좋은 삶을 위해 더 좋은 것         327

12장_ 문제 풀이                                  353

 

에필로그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