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잠으로의 여행

입체북_web

좋은 잠, 나쁜 잠, 이상한 잠

역설적이게도 깨어 있는 시간을 지배하는 것이 잠자는 시간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가?

단지 푹 자야 건강한 신체를 유지한다는 이유에서만이 아니다. 우리는 꿈을 통해 객관적으로 경험해보지 못할 주관적인 경험을 하며 깨어 있는 삶에 대한 내성을 만든다. 또한 깨어 있는 동안 배웠던 지식과 그에 따라오는 감정을 자는 동안 곱씹으며 나의 것으로 만든다. 그래서 잠은 좋은 것이고, 가끔은 나쁜 것이고, 또한 이상한 것이다.

우리는 매일 두 가지 세상에서 산다

현대인의 하루를 이야기해보자. 아침에 눈을 뜨고, 각자 일터로 학교로 혹은 집에서의 일을 하러 자리를 옮긴다. 그러고는 삶에서 각자의 드라마를 만들어내다가 어느덧 해가 지고 어두워지면 흔히 우리가 잠자리라 부르는 곳으로 돌아와 눈을 감으며 하루를 끝낸다.

과연 하루는 그렇게 끝날 것인가? 외부와 단절된 채, 깨어 있던 시간에 만났던 세상과는 전혀 다른 내면의 세상과 만나게 되는 새로운 시작이 기다린다. 바로 잠이다. 좋기도 하고, 나쁘기도 하고, 이상하기도 한 그 순간에 대해 우리는 아직 아무것도 모른다. 잠은 완전히 개인적인 경험이기 때문이다. 잠을 잘 때는 자기 자신을 자각하지 못하기 때문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정확한 진술도 할 수 없다. 일부 생생한 꿈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은 흐릿한 기억에 의존할 뿐이다.

그러나 여기서 이런 질문을 해볼 수 있다. 잠을 자면서 했던 경험은 소용이 없는 것일까? 남들과 공유할 수 없는 경험이지만 우리는 잠자며, 무서운 것에 쫓기고, 나무에서 떨어지며, 하늘을 날고, 성관계도 한다. 그런 경험은 우리 인생에 아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일까? 수많은 훈련을 했던 권투선수는 다운을 당하면서도 주먹을 내뻗는다. 이후에 그 선수는 자기가 주먹을 뻗었다는 것도 기억하지 못한다. 그렇다면 그 반대도 작용하지 않을까? 무의식 상태에서 했던 수많은 경험이 일상 생활에서 발현되거나 영향을 주는 것 말이다.

우리는 하루 중 거의 3분의 1일을 보내는 잠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잠을 비효율적인 시간이라 생각해서 잠을 줄이려는 노력을 하는가 하면, 잠을 남들보다 더 자는 것을 게으른 것이라 치부하기도 한다.

그러나 잠은, 저자의 말을 따르자면, 이 행성에서 살아가려면 꼭 필요한 것이고 또 하나의 신비로운 세상을 경험하는 것이다.

잠은 효율적이다

현대화된 서구 문명에 큰 영향을 끼친 벤자민 프랭클린이나 에디슨은 잠을 매우 미 효율적인 활동이라 보았다. 벤자민 프랭클린은 “게으름뱅이가 자는 동안 땅을 갈아라, 그러면 팔고도 남을 만큼 많은 양의 옥수수를 얻을 것이다”라는 명언을 남겼고, 에디슨은 “밤에 8시간에서 10시간씩 자는 사람은 완전히 잠을 잘 수도 완전히 잠에서 깰 수도 없다”며 잠을 100퍼센트 채우는 건 비효율적이라 했다.

하지만 최근 과학 연구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서파 수면 시간 동안 우리는 낮에 새로 배웠던 내용을 반복하며 학습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미로 찾기 훈련을 하고 나서 잠을 잔 쥐는 같은 훈련을 하고 잠을 자지 않은 쥐보다 길을 떠 빨리 찾는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시험 준비 시간과 상관 없이 잠을 많이 잔 쪽의 성적이 더 좋았다. 잠은 꽤 효율적인 활동이라는 사실이 속속히 밝혀지고 있다.

게다가 잠은 꽤 창조적인 활동이다. 폴 매카트니가 꿈에서 들었던 음율로 만들었다는 <예스터데이>의 예를 들지 않더라도 잠을 꽤나 창조적이다. 깨어 있을 때는 시간의 축을 따라가는 우리의 인식이 잠이 들면 감정의 축을 따라간다. 잠이 막 들려고 할 때는 예전의 기억과 현재의 기억이 중첩되면서 새로운 퍼즐을 만들고 그것을 풀어나간다. 구체적인 상황을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인식의 지평이 넓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기에 진화론적 관점에서 보자면, 잠은 매우 위험한 활동임에도 불구하고(잠을 잘 때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없으므로) 잠을 버리지 않는 방향으로 진화한 것이다.

잠과 깨어 있음은 서로 소통한다

효율과 과학 측면 외에도 잠은 감성을 공유하는 측면이 있다. 서구의, 특히 미국의 부모는 아이를 따로 재우며 울어도 바로 달래주지 않는 것이 독립심을 키운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또한 이를 적절한 수면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동양 쪽에서는 아이를 즉시 안아줄 수 있는 공간에서 재우는 것이 일반적이며, 바로 달래주는 것이 아이의 정서 발달에 더 좋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스트레스 호르몬이라 불리는 코르티솔 수치를 측정한 결과 동양적 방식(함께 자는 방식)이 아이의 스트레스를 크게 낮춰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꿈에서 특정 인물이 나에게 해를 끼쳤다면, 실제로 그 사람을 만났을 때 왠지 편한 마음이 들지 않을 것이다. 그러면 나도 모르게 행동이 조심스러워진다. 꿈에 어떤 신비한 힘이 있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이렇듯 꿈에서의 감성과 깨어 있을 때의 감성은 서로 연결되어서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어떤 문화권에서는 꿈에서 나에게 잘못한 사람에게 사과를 요구할 수 있다고도 한다. 수천 년간 많은 문화권에서는 잠과 꿈에 대해 나름의 방식으로 관찰하고 결론을 내렸다. 인도의 ‘우파니샤드’에는 이미 수천 년 전에 잠과 꿈에 대한 정의를 내려 놨는데 현대 심리학자들이 말하는 개념과 매우 흡사하다. 잠에 많은 비밀이 있으며 그 신비를 밝히는 방법이 꼭 과학에만 있지 않음을 깨닫는다면 더욱 많은 비밀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잠에 대해, 깨어 있음에 대해, 그리고 잠과 깨어 있음의 그 중간 지대에 대해 선명한 통찰을 가지고 이야기한다. 말 그대로 잠의 과학, 잠의 문화 그리고 잠의 비밀인 것이다.

결국, 잠은 아직 우리가 정확히 알지 못하는 미지의 영역에 있지만 그 안에 수많은 선물이 숨어 있음을 『행복한 잠으로의 여행』을 읽으며 깨닫게 될 것이다.

지은이

캣 더프 | Kat Duff

캣 더프는 『질병의 연금술(The Alchemy of Illness)』을 저술해 여러 상을 수상했다. 그녀는 햄프셔 대학에서 수학했는데, 문학, 심리학, 사회학, 인류학, 뇌신경학 등 다양한 학문을 추구했다. 그녀의 잠에 대한 오랜 호기심과 만성 불면증 환자인 두 친구가 다양한 학문에 관심이 있는 특성을 이용해 잠이라는 분야를 연구하도록 그녀를 이끌었다. 저자는 현재 뉴멕시코 북쪽에 살고 있다.

옮긴이

서자영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 현재 디자인 회사를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작품을 번역 중이다. 번역한 책으로는 『인간은 왜 세균과 공존해야 하는가』가 있다.

책 속에서

배트우먼이 그려진 잠옷을 입은 일곱 살 된 내 의붓딸 로렌은 침대 옆에서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잠자리에 들 시간이었기 때문에, 천장에 붙여둔 별모양 스티커가 반짝이는 것을 빼고는 방은 어두웠다. 내가 침대 커버를 젖히자, 로렌은 매일 밤마다 졸릴 때까지 이리 놓았다 저리 놓았다 하는, 베개와 동물인형, 리본, 반짝이는 물건들로 만든 밤의 둥지로 기어들어갔다. 그런 다음, 갑자기 떠오른 것처럼 몸을 홱 돌리며 소리질렀다. “왜 잠을 자야만 해요?”

여러 나라의 문화를 비교 연구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동물의 세계 또는 산업화 이전의 사람들에게는 24시간 동안 한 번 이상 잠을 자는 수면 패턴이 예외적인 것이 아니라 일반적이었다. 어두운 겨울이 오랜 시간 동안 계속되는 북구에서는 토마스 베르의 연구에서처럼, 잠자는 동안 두 가지 호르몬이 분비되었다. 따뜻한 기후 지방에서는 더위를 피하는 낮잠이 첫 번째 잠을 대신한다. 근대 이전의 수면 방식을 조사한 역사학자 로저 키르히Roger Ekirch 교수는 ‘첫 번째 잠’ 또는 ‘깊은 잠’, 그리고 ‘두 번째 잠’ 또는 ‘아침잠’에 이어, 이 수면 사이에 ‘깨어 있는 사람’이라는 단어가 자주 언급되는 것을 발견했다.

 

 

불면증이 잔인한 이유는 우리가 목표를 달성하는지 살펴보려고 뇌가 계속 깨어 있기 때문에, 불면증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노력을 수포로 만든다는 점이다. 분홍색 코끼리 속담처럼 무언가에 대해 생각하지 않으려 할수록 생각나는 것과 같은 이치다. 분홍색 코끼리에 대해 생각하지 말라고 하면 할수록 분홍색 코끼리의 이미지가 떠오르듯이, 깨어 있지 않으려고 노력하면 할수록 더 깨어 있게 된다. 이 악순환이 반복되면 지는 싸움이 된다. 차라리 포기하고, 깨어 있다는 괴로움을 내버려둔 채,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보는 것이 낫다. 결국 토마스 베르의 의견처럼, 만성적인 수면 부족과 인공 조명 탓에 눕자마자 잠들어서 아침까지 7~8시간 계속 잠드는 것은 단지 바람일 뿐이다.

 

 

2008년 12월, CNN의 앵커, 안잘리 라오Anjali Rao가 전임 대통령이었던 빌 클린턴과의 인터뷰 도중, 후임 대통령인 오바마에게 한 가지 조언을 해달라고 요청하자, 빌 클린턴은 “너무 열심히 노력하고 너무 열심히 일하다 보니, 오랜 정치 생활을 하면서 내가 한 대부분의 실수는 매우 피곤해 있을 때 내린 결정이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너무 지쳐 있을 때에는 판단하지 않길 바랍니다”라고 답했다.

추천사

“『행복한 잠으로의 여행』은 최근의 과학과 세계 각 나라의 문화, 문학과 철학, 그리고 저자의 개인의 경험까지 얼버무린 대단히 훌륭한 개요서다. 캣 더프는 다른 사람에게 충분히 도움이 될 만한 방식과 자신의 통찰력을 합해서, 주제를 잘 전달한다.”

– 자네트 마거 (워싱턴 주립대학 인류학 교수)

“캣 더프는 우리 일상의 한 부분, 즉 잠이라 부르는 것을 집어낸다. 먼지를 털어내고, 불가능할 것 같은 불빛으로 비추며,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각도에서 잠의 놀라운 측면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캣은 예술가, 시인, 고대의 선지자들이 잠에 대해 제공했던 이야기를 섞어서 아주 재주 있게 잠에 대한 최신 과학 연구 쪽으로 우리를 밀어 넣는다. 나는 이 책을 잠들기 전에 항상 읽는다. 이 책이 매우 재미있으면서도 계몽적이어서 내 스스로 나를 치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하면 이 책의 일부분을 잠 속으로 끌고 갈 수 있고, 저자가 말한 회복의 놀라운 선물을 받을 수 있다.”

– 로레타 오르티즈 이 피노 (홀리크로스 병원, 주임 의학 박사)

“신비한 판도라처럼, 캣 더프는 그녀의 열려 있는 호기심을 어둡고 신비로운 세계로 향한다. 재치 있고, 매력적이며, 명쾌하고, 유머가 있으며, 지혜로운 캣 더프는 보통이라면 함께 지낼 수 없는 지식들, 즉 뇌신경학, 철학, 민속학, 사회학, 무속학, 문학, 심리학, 신학, 동물학, 신비주의, 민족학 등의 관점을 종합해서 전달한다. 그녀는 방대한 경험, 일대기, 꿈, 통찰을 이 보석 같은 책을 만들려고 이음새 없이 엮어 놓았다.”

– 아리파 굿맨 (융 심리학 분석가)

차례

 

머리말 9

잠의 요정이 올 때 잠들기

잠 들게 하는 스위치 21 | 잠을 향해 나아갈 때 23 | 세상과의 공조 27

잠들기 두려운 마음

정령이 잠든 사람을 숨 막히게 하려고 보냈다 35 | 깨어 있던 의식이 밤마다 소멸된다 38

잠자는 두려움 42 | 안전하게 잠들기 47

아이를 재우는 방법, 유아기의 수면조건

아이들이 따로 잠들게 된 배경 52 | 요람에서 아기 침대로 55

아이를 편안하게 재우는 방법 58 | 밤에 울면서 깨는 이유 63

유아기에 개발되는 신경체제 68

서구 과학과 동양의 철학적 관점으로 본 잠의 단계

렘 수면 77 | 기억의 깊은 우물 81 | 서파 수면 86 | 동양 철학에서의 관점 88

깊은 잠을 자는 동안 느끼는 정광명 92

잠과 잠 사이의 시간

알을 품고 있는 암탉처럼 100

잠들지 못하는 고통, 불면증

쉬지 마라, 잠자지 마라, 일을 마쳐라 112 | 현대 생활과 수면 부족 115

몰아서 자는 잠 119 | 수면 불안의 역사 122

깨지기 쉬운 잠 127

수면제 그리고 수면의 상업화

수면 보조제의 역사 135 | 수면 산업 143 | 수면 불안 148

잠자는 세상과 깨어 있는 세상의 분리

기절 156 | 잠과 의식의 분리에 대한 균형 158

잠과 의식의 분리에 대한 역사적 개요 164

반쯤 깨어 있고 반쯤 잠이 든 상태

깨어 있는 것과 잠들어 있는 상태의 경계 170

깨어 있는 것도 잠이 든 것도 아닌, 둘 다의 상태 173 | 보이지 않는 협력자 177

잠의 기능, 기억과 창조

기억과 학습 184 | 렘 수면과 기억력 186 | 창조적인 해결 190

잠의 기능, 감정의 회복

이중 의식 198 | “꿈, 악몽, 광기” 201 | 몽유병 204

동맹일까, 적일까, 아니면 둘 다일까? 209

잠에는 주인이 없다

인간은 꿈을 꾸는 존재다 215 | 어느 누구도 꿈을 빼앗을 수 없다 218

다양한 꿈의 종류 222

평범한 꿈, 영향을 주고 받는 관계

개인적인 꿈∙공동의 꿈 234 | 한 손이 다른 손을 씻어주는 것처럼 238

찾아가거나 여행하는 꿈 242

특별한 꿈, 또 다른 세상과의 만남

특별한 문제에 대한 꿈 250 | 환영이 찾아오는 꿈 254 | 예언적인 꿈 257

깨어 있는 어려움, 생체시계와 사회적 시간

어떻게 일어나는 것이 좋을까 264 | 생체 시계 266

저녁형 올빼미와 아침형 종달새 273 | 수면 무력증 276

두 세계가 만나는 곳 279

깨어 있는 것에 대한 집착

황금의 도시 288 | 잠꾸러기, 멍청이, 부끄럼쟁이, 투덜이 291

잠에서 깨어나기

우리가 알지 못하는 의식의 창고 302 | 깨어 있음을 확인시켜주는 좋은 천사 306

수면의 미래 308

옮긴이의 글 316

캣 더프 지음 / 서자영 옮김

320페이지 / 신국판(152*224)

16,000원

초판 1쇄 발행 2015년 4월 27일

ISBN 979-11-85230-51-1 03300

분류: 인문 일반 / 사회과학 일반

발행: 처음북스

연락처: T. 070 7018 8812 F. 02 6280 3032 cheombooks@cheom.net 이상모 편집장